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열린광장] 고맙고 감사하다

우리는 미지의 세계, 가보지 못한 곳에 강한 호기심을 갖고 있다. 이것은 어떤 장소일 수도 있고 다가올 미래일 수도 있다. 내가 70대가 되었을 때의 세상은? 100세가 되었을 때 내 건강은 어떨까?     이런 면에서 최근 중앙일보에 개재된 김형석 교수의 글 ‘120세 시대, 장수가 축복이 되려면…’은 고맙고 감사하다. 104세라는 내가 가보지 못한 미지의 세계에 있는 그의 진솔한 고백이어서다. 나는 오래전부터 그의 저서를 읽기 시작했고, 또 그의 강연을 들으며 그의 인간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사랑,역사와 사회에 대한 한결같은 책임의식을 잘 알고 있다.     그는 어려운 유학 생활을 잘 견디고 오늘을 있게 해 준 신에게 감사하며 방학 때는 지방까지 다니며 강연회를 했다. 그는 철학 교수로,베스트 셀러 작가로 인지도가 높아  강연 요청도 많았다고 한다.   김 교수는 오래전 한 강연에서 모두 같이 잘살 수 있는 제도와 기독교 윤리에 관해 얘기했다. 요지는 이렇다.     “지금까지 인간이 만든 제도는 자본주의(시장경제)와 공산주의(계획경제)가 있는데 공산주의는 인간이 실현할 능력이 없음을 역사가 증명하고 있어 폐기 되어야 한다. 자본주의의 시장경제는 필연적으로 경제적 불평등을 만들게 된다. 시장경제에서는 자신의 소유물을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비난할 근거가 없기 때문에 불평등이 심화하고 사회적 혼란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 대안이 되는 것이 기독교 윤리다. 여기에는 많이 가진 자가 사회적 약자에게 나누어 주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예수가 그렇게 가르쳤기 때문이다.”   그의 인간에 대한 깊은 연민과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강연이었다. 하지만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공산주의는 사라지지 않고 인간의 자유를 더 억압하고 있고, 또 종교가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없는 세상이 되어 있다.   김 교수는 104세가 된 지금 90세 이후의 생각과 95세부터의 삶에 관해 이야기했다. 아직 가보지 못한 미래에 대해 눈을 뜨게 해주는 것이다. 그는 90세까지 계획된 삶을 살았고,그후에는 주어지는 대로 충실히 살아왔다고 했다. 또 95세부터는 정신이 약한 육체를 이끌고 있다고 고백한다.     한국보다 100세 이상 인구가 10배나 많은 일본에서 100세 이상 살기 바라는 인구의 비율은 21%에 불과하다고 한다. 100세 이상 시니어의 힘든 삶을 우리보다 더 많이 곁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육체의 한계가 이렇게 뚜렷하다고 해도 육체를 더 강하게 훈련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다. 그렇다면 약해진 육체를 이끌어 가야 할 정신을 더 강하게 훈련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120까지 사세요”라는 인사보다 “더 오래 우리 곁에 계셔 주세요”라는 인사를 듣고 싶다는 김 교수님에게 “더 오래 우리 곁에서 좋은 얘기를 해주세요”라고 인사하고 싶어진다.      최성규 / 베스트 영어 훈련원장열린광장 감사 철학 교수로베스트 종교가 사회적 김형석 교수

2023-10-10

[삶의 뜨락에서] 나이야! 가라

요새 트로트계에 막내로 태어난 오유진이란 소녀가 즐겨 부르는 노래가 있습니다. ‘나이야 가라, 나이야 가라, 나이가 대수냐, 오늘이 가장 젊은 날’이라고 부르는 노래입니다.     이제 인생의 후반기에 들어선 세대에게는 말 못할 설움이 있습니다. 대학병원에서 회식이 있어도 나이든 교수님들은 회식에 나가서 식사만 하고 빨리 자리를 비워주어야 하는 것이 불문율로 되어 있습니다. 식사하는데 너무 오래 앉아 있어도 안 되고 2차나 3차에는 더더욱 따라가서는 안 됩니다. 물론 가자고야 하지요. 그러나 눈치 없이 따라갔다가는 주책없는 늙은이만 되고 등 뒤에서 흉을 보는 이들의 욕을 먹어야 합니다. 그리고 공식 모임이 아닌 자기들끼리의 모임에는 아예 초대도 하지 않고 자기들끼리 쑥덕거리다가 나가 버립니다. 물론 자기들끼리 가는 골프모임이라던가 등산에는 오라고 해도 점잖게 거절을 해야지요. 이것은 왕따라고는 할 수는 없지만, 불문율의 법칙이기도 합니다.     이제 몇 년이 지났습니다. 은퇴하니 이런 따돌림은 더욱 완연해지고 사회적인 격리가 분명해졌습니다. 이제는 자기 나이 또래의 모임을 찾자니 그런 모임이 별로 많지도 않고 모임에 나오는 친구들의 숫자가 줄어듭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스스로 이제는 사회에서 완전히 은퇴하여 밖의 출입을 안 하려고 하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야 이제 내 나이에 뭣 하러 밖에 나돌아다니냐. 집에 들러 앉아 있지”라고 하는 것입니다. 나는 103세의 철학자 김형석 선생님의 강의를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김 선생님의 말씀에 인생의 최고로 좋았던 시기는 65세에서 75세였고 그 후에도 꾸준히 발전한다는 것입니다. 젊었을 때보다 암기력은 떨어지지만, 사고력은 늘어간다는 말입니다. 지적으로는 좀 후퇴하지만, 지혜는 계속 발전한다는 말입니다. 그럼 언제까지 발전하느냐고 사회자가 물었더니 “그건 말을 할 수 없다. 90세가 넘어도 발전을 하는 것 같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계속 책을 읽고 배우고 머리를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서울대 철학 교수였던 김태길 교수는 90세에 별세하셨는데 돌아가시기 3개월 전까지 글을 쓰셨고 숭실대의 안병욱 교수는 93세에 별세를 하셨는데 돌아가시는 달까지 강연하시고 글을 쓰셨다고 하십니다. 김형석 교수는 100세가 넘어서 ‘100세를 살다 보니’라는 책을 내셨고 이어령 교수는 췌장암으로 고생하시지만 88세까지 아직도 집필하고 계십니다. 그러니 그분들을 따라가려면 아직도 먼 저희는 아직도 공부하고 연구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100세가 넘기까지 그림을 그렸다는 모제스 할머니는 76세 때 시작한 그림을 가지고 100세까지 전시회를 하고 101세 때 별세했다고 하지 않습니까. 처칠은 80이 넘어 노벨문학상을 받았고 괴테는 80이 넘어 10대 여성을 사랑했다고 하지 않습니까. 물론 거절당했지만….     요새는 사람들이 젊게 살아서 나이에 0.7을 곱해야 생물학적 나이가 된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러니 80세라면 그전의 56세입니다. 아직도 한참일 때입니다. 오래전 정석해 선생이 김형석 선생에게 나이가 몇이냐고 물을셨답니다. 그래서 75세라고 대답하니까 혼잣말로 “좋은 때다”라고 말씀했습니다. 그래서 오유진은 마음은 나이와 상관없다고 ‘나이야 가라, 나이야 가라’ 하고 노래를 불러줍니다. 이용해 / 수필가삶의 뜨락에서 나이 생물학적 나이 자기 나이 김형석 교수

2021-12-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